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다니엘 바렌보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다니엘 바렌보임은 아르헨티나 출신의 피아니스트이자 지휘자이다. 1942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태어나 부모에게 피아노를 배우며 음악을 시작했고, 7세에 첫 연주회를 열었다. 1952년 이스라엘로 이주하여 이고르 마르케비치, 빌헬름 푸르트벵글러 등에게 사사했다. 1967년 첼리스트 재클린 뒤 프레와 결혼했으나, 뒤 프레의 다발성 경화증으로 음악 활동을 중단하고 1987년 사망했다. 1988년 엘레나 바쉬키로바와 재혼하여 두 아들을 두었다. 런던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지휘자로 데뷔한 후, 파리 오케스트라,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 등의 음악 감독을 역임했다. 베를린 슈타츠카펠레의 종신 지휘자, 라 스칼라 오페라 하우스의 음악 감독을 맡았으며, 서구-동부 디반 오케스트라를 창설하여 정치적, 사회적 활동도 펼쳤다. 바그너 연주를 둘러싼 논란과 팔레스타인 문제에 대한 입장을 표명하며, 다양한 상을 수상했다. 2022년 건강상의 이유로 지휘 활동을 줄였으며, 2023년 베를린 슈타츠오퍼 총지휘자에서 사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헨티나의 클래식 피아노 연주자 - 마르타 아르헤리치
    아르헨티나 출신 피아니스트 마르타 아르헤리치는 5세에 피아노를 시작, 8세에 데뷔,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 우승을 통해 국제적 명성을 얻었으며, 열정적인 연주와 폭넓은 레퍼토리, 실내악 연주, 젊은 음악가 양성, 벳푸 아르헤리치 음악제 창설 및 총감독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다니엘 바렌보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본명다니엘 모세스 바렌보임
출생일1942년 11월 15일
출생지부에노스아이레스, 아르헨티나
국적아르헨티나
스페인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직업피아니스트
지휘자
활동 기간1952년–현재
배우자재클린 뒤 프레 (1967년 결혼, 1987년 사별)
엘레나 바시키로바 (1988년 결혼)
자녀2명
다니엘 바렌보임, 2019년 쾰른에서 콘라드 아데나워 상 수상
다니엘 바렌보임, 2019년 쾰른 시에서 콘라드 아데나워 상 수상
웹사이트danielbarenboim.com
로마자 표기Daniel Barenboim (다니엘 바렌보임)
경력
교육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 대학교
키지아나 음악원
산타 체칠리아 국립 아카데미아
활동1950년 - 현재
수상
참고 자료
음성BBC Reith 강연, 2006년 4월 7일

2. 생애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피아노 신동으로 주목받았다. 1950년 7세의 나이로 데뷔 연주회를 가졌고, 1952년 가족과 함께 이스라엘로 이주한 후 유럽 등지에서 음악 교육을 받으며 세계적인 음악가로 성장했다.

피아니스트이자 지휘자로서 파리 관현악단(1975-1989),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1991-2006), 베를린 국립 오페라 및 베를린 슈타츠카펠레(1992-2023) 등 세계 유수의 악단을 이끌었다. 특히 베를린 슈타츠카펠레에서는 종신 지휘자로 임명되었으며,[23] 밀라노 라 스칼라의 음악 감독(2011-2017)도 역임했다. 바이로이트 페스티벌에서도 오랜 기간 활동하며 바그너 오페라 해석에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영국의 첼리스트 재클린 뒤 프레와 1967년 결혼했으나, 그녀가 다발성 경화증으로 투병하다 1987년 사망한 후, 러시아 출신 피아니스트 엘레나 바쉬키로바와 1988년 재혼하여 두 아들을 두었다.

바렌보임은 음악 활동 외에도 팔레스타인 문제에 대한 이스라엘 정부 정책을 비판하고 팔레스타인인의 권리를 지지하는 등 자신의 정치적, 사회적 신념을 적극적으로 표현해 왔다. 팔레스타인 출신 지식인 에드워드 사이드와의 우정을 바탕으로 1999년,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의 젊은 음악가들이 함께 교류하는 서동시집 관현악단(West–Eastern Divan Orchestra)을 창단하여 음악을 통한 평화와 이해 증진에 기여했다. 이러한 노력은 베를린에 바렌보임-사이드 아카데미 설립으로 이어졌다.

또한, 이스라엘에서 금기시되었던 바그너의 음악을 연주하여 큰 논란을 일으켰다. 이는 바그너의 반유대주의적 성향과 나치 시대의 연관성 때문이었으나, 바렌보임은 예술적 표현의 자유를 내세우며 2001년 이스라엘에서 바그너 작품을 연주했다. 이 사건은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으나, 이스라엘 사회 내 바그너에 대한 논의를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활동에도 불구하고 그는 2004년 이스라엘 울프상 예술 부문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아르헨티나,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스페인 시민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시민권을 동시에 가진 첫 인물 중 한 명이다. 오랫동안 베를린에 거주하며 활동했으나, 2022년 10월 건강 문제로 활동을 줄였고 2023년 1월 베를린 국립 오페라 음악 총감독직에서 사임했다.[44][45][46]

2. 1. 초기 생애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유대인 집안에서 1942년 11월 15일에 태어났다.[7] 그의 조부모는 각각 벨라루스우크라이나 출신으로, 당시 만연했던 유대인 박해를 피해 아르헨티나로 이주한 배경을 가지고 있다. 그의 부모인 아이다(Aida Schuster)와 엔리케 바렌보임(Enrique Barenboim)은 모두 전문 피아니스트였다.[7]

바렌보임은 다섯 살 때 어머니에게서 피아노 레슨을 받기 시작했으며, 이후에는 아버지가 그의 유일한 피아노 스승이 되었다.[7] 그는 어린 시절부터 뛰어난 음악적 재능을 보였고, 1950년 8월 19일, 불과 7세의 나이로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첫 공식 연주회를 열며 피아니스트로 데뷔했다.[8]

1952년, 바렌보임 가족은 이스라엘로 이주했다.[8] 2년 후인 1954년 여름, 그는 부모와 함께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로 가서 에드빈 피셔에게 피아노를 배우고, 이고르 마르케비치(Igor Markevitch)의 지휘 마스터클래스에 참여했다. 같은 해 여름, 그는 저명한 지휘자 빌헬름 푸르트벵글러(Wilhelm Furtwängler)를 만나 그의 앞에서 연주할 기회를 가졌다. 푸르트벵글러는 어린 바렌보임의 재능에 감탄하며 "경이로운 존재"라고 칭했고, 베를린 필하모닉과 함께 베토벤피아노 협주곡 제1번을 협연할 것을 제안했다. 그러나 바렌보임의 아버지는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지 얼마 되지 않은 시점에서 유대인 소년이 독일에서 연주하는 것은 아직 이르다고 판단하여 이 제안을 정중히 거절했다.[9][10] 1955년에는 프랑스 파리로 건너가 나디아 불랑제(Nadia Boulanger)에게 화성과 작곡을 배웠다.

다니엘 바렌보임(11세), 작곡가 에이탄 루스티그, 가드나 청소년 오케스트라와 함께 (1953)


피아니스트로서 그의 국제적인 경력은 빠르게 시작되었다. 1952년 로마에서 연주하며 유럽 무대에 데뷔했고, 이후 1955년에는 파리, 1956년에는 런던에서 성공적인 데뷔 연주회를 가졌다. 1957년에는 미국 뉴욕의 명망 높은 카네기 홀에서 레오폴드 스토코프스키(Leopold Stokowski)가 지휘하는 심포니 오브 디 에어(Symphony of the Air)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여 프로코피예프피아노 협주곡 제1번을 연주하며 미국 무대에도 화려하게 데뷔했다. 이후 그는 유럽, 미국, 남미, 호주, 극동 등 전 세계를 무대로 활발한 연주 활동을 펼쳤다. 이미 21세의 젊은 나이에 베토벤피아노 소나타 전 32곡을 완주하는 등 일찍부터 거장으로서의 면모를 보여주었다.

2. 2. 음악 활동

1958년 1월, 15세의 나이로 미국에서 가진 콘서트 공연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난 바렌보임은 5세 때 어머니에게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했고, 이후 아버지 엔리케에게만 사사했다. 1950년 8월, 7세의 나이에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첫 공개 연주회를 열며 피아니스트로 데뷔했다. 1952년 가족과 함께 이스라엘로 이주했으며, 같은 해 로마에서 피아니스트로서 국제 무대에 데뷔했다. 1954년 여름에는 잘츠부르크에서 이고르 마르케비치의 지휘 마스터클래스에 참석하고 에드빈 피셔에게 피아노를 배웠으며, 빌헬름 푸르트벵글러를 만나 "천재"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또한 이탈리아에서는 클라우디오 아바도와 함께 프랑코 페라라의 지휘 클래스에 참여했고, 1955년 파리에서 나디아 불랑제에게 화성과 작곡을 배웠다.

이후 유럽과 세계 주요 도시에서 성공적인 피아니스트 경력을 쌓았다. 1955년 파리, 1956년 런던에서 데뷔했으며, 1957년에는 뉴욕 카네기 홀에서 레오폴드 스토코프스키가 지휘하는 심포니 오브 디 에어와 협연하며 미국 데뷔 무대를 가졌다. 그는 유럽, 미국, 남미, 호주, 극동 지역을 정기적으로 순회 공연했으며, 21세에는 이미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전 32곡을 공개 연주했다. 모차르트, 브람스, 버르토크 등의 피아노 독주곡과 협주곡 음반을 다수 녹음했다.

1966년 런던 애비 로드 스튜디오에서 잉글리시 체임버 오케스트라와 함께 모차르트 교향곡 녹음을 시작하며 지휘자로 데뷔했다. 이후 유럽과 미국의 여러 유명 교향악단으로부터 지휘 요청을 받았다. 1967년 6월, 당시 약혼녀였던 첼리스트 재클린 뒤 프레와 함께 6일 전쟁 기간 동안 이스라엘의 여러 도시에서 콘서트를 열었다.[17] 잇작 펄만, 주빈 메타, 핀카스 추커만 등 동료 음악가들과의 우정과 뒤 프레와의 관계는 1969년 크리스토퍼 뉴펀 감독의 영화 《송어》에 담겼다.[18]

1973년 에든버러 페스티벌에서 모차르트의 오페라 ''돈 조반니''를 지휘하며 오페라 지휘자로 데뷔했다. 1975년부터 1989년까지 파리 관현악단의 음악 감독을 맡아 현대 음악을 포함한 폭넓은 레퍼토리를 선보였으나, 악단의 수준을 떨어뜨렸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프랑스 음악 중심에서 벗어나 레퍼토리를 확장하고 단원들과 실내악을 연주하는 등 악단의 국제화를 이끌었다는 평가도 받는다.

1981년부터 1999년까지 바이로이트 페스티벌에 정기적으로 참여하여 바그너의 주요 오페라들, 특히 《니벨룽의 반지》, 《뉘른베르크의 명가수》, 《트리스탄과 이졸데》 등의 새로운 프로덕션을 지휘하며 페스티벌의 중심 지휘자로 활동했다. 1988년 파리 오페라 바스티유의 예술 및 음악 감독으로 임명되었으나, 개관 직전인 1989년 1월 해임되는 논란을 겪었다.[19]

(좌측부터) 동베를린 유대인 공동체 회장 피터 키르히너, 독일 연방공화국 대통령 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 그리고 바렌보임이 베를린-바이센제의 유대인 묘지를 방문하는 모습 (1990)


1991년 조지 솔티 경의 뒤를 이어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음악 감독으로 취임하여 2006년까지 활동하며 세계적인 명성을 더욱 확고히 했다.[20] 그는 미국 오케스트라 운영 방식, 특히 기금 모금 활동에 대한 부담감을 토로하기도 했다.[21] 1992년부터는 베를린 국립 오페라와 베를린 슈타츠카펠레의 음악 감독을 겸임했으며, 오페라단의 독립성을 지키고 오케스트라의 전통적인 사운드를 보존하려 노력했다.[22] 2000년 가을, 베를린 슈타츠카펠레의 종신 지휘자로 임명되었다.[23] 2019년에는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로부터 명예 지휘자 칭호를 받았다.[144]

2006년 리카르도 무티의 사임 후 밀라노 라 스칼라 오페라 하우스의 수석 객원 지휘자("Maestro Scaligero")로 임명되었고,[24] 2011년부터 2017년까지 음악 감독을 역임했다.[25] 2008년 11월에는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 바그너의 ''트리스탄과 이졸데''로 데뷔했다.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빈 신년 음악회를 2009년, 2014년, 2022년에 지휘했다.[34][36][37] 2009년 신년 메시지에서는 중동 평화와 인간 정의를 기원했다.[35]

바렌보임은 팔레스타인 문제에 대한 이스라엘 정부 정책에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며 팔레스타인인의 권리를 옹호하는 활동을 벌여왔다. 팔레스타인 출신 지식인 에드워드 사이드와 깊은 우정을 나누며, 1999년 아랍과 이스라엘의 젊은 음악가들을 모아 서동시집 관현악단(West–Eastern Divan Orchestra)을 창단했다. 이 오케스트라는 음악을 통한 상호 이해와 평화 증진을 목표로 활동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베를린에 바렌보임-사이드 아카데미 설립으로 이어졌다. 2016년 12월 개교한 이 아카데미는 아랍권과 이스라엘 출신 젊은 음악가들이 음악과 인문학을 함께 공부하는 교육 기관이다.[38][39] 아카데미 내 콘서트홀인 피에르 불레즈 홀은 프랭크 게리가 설계하고 야스히사 토요타가 음향을 담당하여 2017년 개관했다.[40]

한편, 바렌보임은 반유대주의적 성향과 아돌프 히틀러와의 연관성 때문에 이스라엘에서 연주가 금기시되었던 리하르트 바그너의 작품을 이스라엘에서 연주하여 논란과 주목을 동시에 받았다. 1980년대부터 이스라엘에서 바그너 연주를 시도했으며, 2001년에는 베를린 슈타츠카펠레를 이끌고 이스라엘 페스티벌 앙코르 무대에서 바그너의 《트리스탄과 이졸데》 서곡을 연주했다. 이 일로 이스라엘 국회에서 비판을 받았으나, 이후 관계가 회복되었고 이스라엘 내 바그너에 대한 인식 변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2004년 이스라엘 울프상 예술 부문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바렌보임은 역사주의 연주와 같은 현대 음악학의 경향에 비판적인 입장을 보여왔다. 그는 작곡가의 메트로놈 표기 등 역사적 자료에만 의존하기보다, 음악 자체의 화성과 화성 리듬 안에서 적절한 템포를 찾아야 한다고 주장한다.[47] 그의 베토벤 교향곡 녹음은 이러한 철학을 반영하여 20세기 초의 해석 경향을 따르는 편이며, 데이비드 진먼이나 로저 노링턴 같은 지휘자들의 빠른 템포 설정과는 거리를 둔다. 바흐의 《평균율 클라비어곡집》 녹음에서는 현대 피아노의 서스테인 페달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특정 성부를 강조하는 등 하프시코드 연주와는 다른 접근 방식을 보여준다. 그는 바흐 시대의 연주 양식을 그대로 재현하는 것보다, 바흐 음악을 현대적으로 해석하고 발전시켜 온 250년의 연주 전통에 더 큰 의미를 둔다고 밝혔다.[48]

2015년에는 스타인웨이의 지원을 받아 벨기에의 피아노 제작자 크리스 마에네(Chris Maene)와 함께 직선 현 구조를 가진 새로운 콘서트 그랜드 피아노를 개발하여 공개했다. 이는 리스트가 사용했던 에라르 피아노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현대 피아노의 교차 현 구조와 달리 더욱 명료한 음색과 음색 조절의 용이성을 특징으로 한다.[41][143]

2006년에는 BBC 라이트 강연 시리즈에서 "태초에 소리가 있었다(In the Beginning was Sound)"라는 제목으로 음악에 대한 강연을 했고,[26][27][28][29] 같은 해 하버드 대학교에서 찰스 엘리엇 노턴 강좌를 통해 "소리와 사상(Sound and Thought)"을 주제로 강연했다.[30] 2018년에는 프랑스 애니메이션 시리즈 ''맥스 & 마에스트로''의 주인공 캐릭터로 등장하기도 했다.[42] 2020년에는 플루티스트 에마뉘엘 파후와 함께 피에르 불레즈 홀에서 디지털 음악 페스티벌 "거리/친밀함(Distance / Intimacy)"을 기획하여 코로나19 팬데믹 상황 속 현대 작곡가들의 신작을 선보였다.[43]

2022년 10월, 심각한 신경계 질환 진단을 받아 건강상의 이유로 연주 및 지휘 활동을 대폭 줄이겠다고 발표했다.[44][45] 2023년 1월, 건강 악화로 베를린 국립 오페라의 음악 총감독(Generalmusikdirektor) 직에서 사임했다.[46][145]

2. 3. 결혼

1967년 예루살렘에서 바렌보임의 결혼식. 베노 로텐베르그, 메이타르 컬렉션, 이스라엘 국립도서관


바렌보임은 두 번 결혼했다. 첫 번째 부인은 영국의 첼리스트 재클린 뒤 프레이다. 1967년 6월 15일, 두 사람은 예루살렘의 서쪽 성벽에서 결혼식을 올렸으며, 이 결혼을 위해 뒤 프레는 유대교로 개종했다.[11] 당시 결혼식 증인 중 한 명은 지휘자 주빈 메타였다.[12]

뒤 프레는 1973년 다발성 경화증(MS) 진단을 받고 연주 활동을 중단했다. 뒤 프레가 투병하는 동안 두 사람의 관계는 소원해져 별거하기도 했지만,[7] 법적인 결혼 관계는 1987년 뒤 프레가 사망할 때까지 유지되었다.

1980년대 초, 바렌보임은 러시아 출신 피아니스트 엘레나 바쉬키로바와 관계를 시작했다. 두 사람은 뒤 프레가 살아있을 때 파리에서 동거하며 두 아들을 두었다. 첫째 아들 데이비드 아서(David Arthur)는 1983년생이며, 둘째 아들 미하엘 바렌보임(Michael Barenboim)은 1985년생이다. 바렌보임은 이 관계를 뒤 프레에게 숨기려 했다.[21] 뒤 프레가 사망한 이듬해인 1988년, 바렌보임은 바쉬키로바와 정식으로 결혼했다. 두 아들 모두 음악계에 종사하고 있는데, 데이비드는 독일 힙합 밴드의 매니저 겸 작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미하엘은 클래식 바이올리니스트로 활동 중이다.[21]

3. 정치적 활동 및 사회 참여

다니엘 바렌보임은 음악 활동 외에도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발언과 참여로 주목받아 왔다. 그는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정책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며 팔레스타인인의 권리를 옹호하는 활동을 펼쳐왔다.[86][153] 이러한 활동은 때때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팔레스타인 출신의 저명한 문명비평가 에드워드 사이드와는 깊은 우정을 나누었으며, 1999년 두 사람은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및 주변 아랍 국가의 젊은 음악가들을 모아 서동시집 관현악단(West-Eastern Divan Orchestra)을 공동 창단했다.[89][90] 이 오케스트라는 음악을 통한 상호 이해와 평화 증진을 목표로 활동하며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고, 바렌보임과 사이드는 이 공로로 2002년 스페인 아스투리아스 공주상을 공동 수상했다.[94]

또한 바렌보임은 이스라엘 내에서 반유대주의 논란과 나치즘 연관성 때문에 오랫동안 금기시되어 온 작곡가 리하르트 바그너의 음악을 연주하여 큰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다. 그는 1980년대부터 바그너 연주를 시도했으며, 특히 2001년 베를린 슈타츠카펠레를 이끌고 예루살렘에서 열린 이스라엘 페스티벌에서 앙코르로 바그너의 작품을 연주한 사건은 격렬한 찬반 논쟁을 불러왔다.[68][69][70] 이 일로 이스라엘 크네세트에서 비판받기도 했으나, 이후 관계가 회복되어 2004년에는 이스라엘 울프상 예술 부문 수상자로 선정되었다.[77]

바렌보임은 아르헨티나,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스페인 시민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시민권을 동시에 가진 최초의 인물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자신의 다중 정체성을 바탕으로 중동 평화와 문화 간 대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3. 1. 팔레스타인 문제

그는 팔레스타인에 대한 이스라엘의 정책에 비판적인 입장을 보이며, 팔레스타인인의 권리를 위한 운동을 하는 등 이스라엘 국적을 가진 음악가로서의 정치적 신념을 드러내 논란의 대상이 되어 왔다. 바렌보임은 아르헨티나, 이스라엘, 팔레스타인(팔레스타인), 그리고 스페인의 시민권을 가지고 있으며,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시민권을 동시에 소지한 최초의 인물이었다.[77] 그는 베를린에 거주하고 있다.

=== 바그너 연주 논란 ===

이스라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당시 팔레스타인 오케스트라)는 나치 시대 초창기부터 영국 위임 통치령 팔레스타인에서도 리하르트 바그너의 음악을 연주했다.[54] 그러나 수정의 밤 이후,[55] 유대인 음악가들은 나치 독일이 바그너를 이용한 방식과 바그너 자신의 반유대주의적 글 때문에[56] 이스라엘에서 바그너의 음악 연주를 피했고, 비공식적인 보이콧이 시작되었다. 이 금지는 1948년 이스라엘 건국 후에도 계속되었으며, 때때로 이를 종식시키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57]

1988년 바이로이트 페스티벌에서 바그너 오페라 제작을 책임지도록 선정된 바렌보임은[60] 적어도 1989년부터 이스라엘의 바그너 금지에 대해 공개적으로 반대해왔다. 그 해에 그는 이스라엘 필하모닉이 바그너의 두 작품을 "연습"하도록 했다.[61] 팔레스타인 출신의 문명비평가이자 절친한 관계인 에드워드 사이드와의 대화에서 바렌보임은 "바그너라는 인물은 절대적으로 끔찍하고 비열하며, 그가 쓴 음악과 어떻게 조화를 이룰 수 있는지 매우 어렵습니다. 그 음악은 종종 정반대의 감정, 즉 고귀하고 관대한 등의 감정을 담고 있기 때문입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바그너의 반유대주의가 분명히 "괴물 같은" 것이라고 말했고, 그것에 직면해야 한다고 느끼지만 "바그너가 홀로코스트를 일으킨 것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1990년, 바렌보임은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를 이끌고 이스라엘에서 처음으로 공연을 했지만 바그너의 작품은 제외했다. 그는 "바그너는 1883년에 죽었지만, 그의 음악이 나치즘과 너무 깊게 연관되어 있어 고통받은 사람들에게 너무 고통스럽기 때문에 [이스라엘에서는] 연주되지 않습니다. 왜 사람들에게 고통을 주는 것을 연주해야 합니까?"라고 말했다.[62] 얼마 지나지 않아 바렌보임이 이스라엘 필하모닉을 이끌고 바그너의 서곡 두 곡을 지휘할 것이라는 발표가 있었고,[63] 12월 27일 "신중하게 선별된 청중 앞에서" 공연이 이루어졌다.[64]

2001년 7월 예루살렘에서 열린 이스라엘 페스티벌에서 바렌보임은 베를린 슈타츠카펠레를 지휘하여 ''발퀴레'' 1막을 공연할 예정이었으나, 일부 홀로코스트 생존자들과 이스라엘 정부의 강력한 항의로 인해 프로그램이 변경되었다.[66] 그러나 콘서트가 끝날 무렵, 바렌보임은 앙코르로 바그너의 ''트리스탄과 이졸데'' 전주곡을 연주하겠다고 발표하며 반대하는 사람들에게 떠날 것을 요청했다. 그는 "이스라엘 페스티벌이 믿는 것과는 달리, 바그너가 나치와 관련이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청중석에 있습니다. 저는 이러한 연상이 억압적인 사람들을 존중합니다. 바그너 앙코르를 듣고 싶어하는 사람들을 위해 연주하는 것은 민주적인 것입니다. 제가 여러분께 지금 바그너를 연주해도 되는지 묻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약 30분간의 격렬한 논쟁 끝에 소수의 청중만이 자리를 떠났고, 대다수는 남아 연주 후 큰 박수를 보냈다.[68][69][70][154] 바렌보임은 이 연주가 정치적 발언이라고 밝혔으며, 기자 회견 중 한 기자의 휴대전화 벨소리가 바그너의 "발퀴레의 기행"인 것을 듣고 금기에 도전하기로 결심했다고 말했다.[72][73][74]

이 사건 이후 이스라엘 크네세트 위원회는 바렌보임에게 사과를 요구하며 그를 페르소나 논 그라타로 선포할 것을 촉구했으나,[75] 이는 주빈 메타 등으로부터 비판을 받았다.[76] 바렌보임은 2004년 이스라엘 볼프상 예술 부문 수상자로 선정되었으며, 수상 전 "사람들이 정말 상처를 입었다면 물론 유감입니다. 왜냐하면 저는 누구에게도 해를 끼치고 싶지 않기 때문입니다."라고 말했다.[77]

이후에도 바렌보임은 바그너와 이스라엘 문제에 대해 꾸준히 발언했다. 2005년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열린 에드워드 사이드 기념 강연에서 그는 이스라엘 대중이 바그너의 반유대주의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은 "두려움, 다시 한번 피해자가 될 것이라는 확신 때문이다...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필요를 이해하는 데 진전을 이루지 못하게 하는 집단적 두뇌 속의 같은 세포이다."라고 말하며,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문제 접근 방식을 비판적으로 연결했다.[78][79][80] 2012년 ''슈피겔''과의 인터뷰에서는 이스라엘의 바그너 연주 거부를 "질병의 증상"이라 표현하며, 홀로코스트 기억이 이스라엘에서 정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고 비판했다.[84] 그는 또한 팔레스타인 문제를 유럽의 반유대주의와 연결시키는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하며, 팔레스타인인들은 추방을 받아들이지 않았을 뿐 반유대주의자는 아니었다고 강조했다.[84]

===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에 대한 입장과 활동 ===

2005년 스페인 세비야에서 다니엘 바렌보임이 서구-동부 디반 오케스트라의 연습을 지휘하는 모습


2005년 다니엘 바렌보임의 지휘 아래 서구-동부 디반 오케스트라의 연습 모습


바렌보임은 이스라엘의 보수 정부와 팔레스타인 지역 점령을 지속적으로 비판해 왔다. 1967년 6일 전쟁과 1973년 욤 키푸르 전쟁 당시에는 최전선 이스라엘 군인들을 위해 공연했지만,[87] 점차 이스라엘 정부의 정책에 비판적인 목소리를 높였다. 2003년 영국의 음악 평론가 노먼 레브레히트와의 인터뷰에서는 이스라엘의 행동이 "도덕적으로 혐오스럽고 전략적으로 잘못되었으며", "이스라엘 국가의 존재 자체를 위험에 빠뜨리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86][153] 그는 이스라엘이 "어떤 민족의 정체성과 싸움으로써 윤리적 기반을 잃어가고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그는 이스라엘인과 팔레스타인인을 위한 두 국가 해결 방안을 공개적으로 지지한다. 2014년 11월 ''가디언''에 기고한 글에서 "이스라엘 국가의 지속적인 안보는 장기적으로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미래 또한 자주적인 국가에서 안전하게 보장될 때에만 가능하다. 그렇지 않으면 그 지역의 전쟁과 역사는 계속 반복될 것이고 참을 수 없는 교착 상태는 계속될 것이다"라고 주장했다.[88]

1999년, 바렌보임은 팔레스타인계 미국인 지식인이자 절친한 친구였던 에드워드 사이드와 함께 서구-동부 디반 오케스트라를 공동 창설했다.[89][90] 이 오케스트라는 매년 여름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및 아랍 국가 출신의 젊은 클래식 음악가들을 모아 함께 연주하고 서로를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91][92][93] 바렌보임과 사이드는 이 활동의 공로를 인정받아 2002년 스페인 아스투리아스 공주상을 공동 수상했다. 두 사람은 뉴욕 카네기 홀에서 열린 일련의 공개 토론을 바탕으로 ''평행과 역설(Parallels and Paradoxes)''이라는 책을 함께 저술하기도 했다.[94]

2005년 9월, 바렌보임은 제복을 입은 이스라엘 방위군 라디오 기자의 인터뷰 요청을 "군복을 입은 사람과는 이야기하고 싶지 않다"는 이유로 거절했다. 이에 대해 당시 이스라엘 교육부 장관이자 리쿠드당 소속이었던 리모르 리브낫은 그를 "진정한 유대인 혐오자"이자 "진정한 반유대주의자"라고 맹비난했다.[95][155]

2008년 1월, 바렌보임은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로부터 명예 시민권을 받았다. 2009년 1월, 이스라엘의 가자 지구 공격이 한창일 때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신년 음악회를 지휘하면서 그는 "2009년이 세계 평화의 해가 되기를, 중동에서 인간의 정의가 실현되기를 우리는 기대합니다"라고 영어로 연설했다. 이에 앞서 그는 성명을 통해 이스라엘에 "더 현명한 행동"을 촉구하며 팔레스타인과의 공존을 호소했다.

서구-동부 디반 오케스트라는 2012년 카타르 도하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네 번째 초청 공연이 "아랍 세계의 상황에 대한 민감성"을 이유로 취소되는 일을 겪기도 했다. 일부 아랍 언론에서는 그를 "시온주의자"로 비난하는 캠페인이 벌어지기도 했다.[96][97] 같은 해 7월, 오케스트라는 BBC 프롬스에서 베토벤 교향곡 전곡을 연주했으며, 특히 9번 교향곡은 2012년 하계 올림픽 개막과 동시에 연주되었다.[98] 바렌보임은 이 올림픽 개막식에서 성화 봉송 주자로 참여하기도 했다.[99]

바렌보임은 팔레스타인과의 연대를 위해 이스라엘의 유대인 정착촌, 특히 요르단강 서안 지구에서 연주 활동을 펼쳐왔다. 또한 음악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2016년에는 베를린에 바렌보임-사이드 아카데미를 설립했다.[156]

3. 2. 바그너 연주 논란

이스라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는 나치 시대 초기 영국 위임 통치령 팔레스타인에서도 리하르트 바그너의 음악을 연주한 바 있다.[54] 그러나 1938년 수정의 밤 사건 이후,[55] 나치 독일이 바그너를 정치적으로 이용하고 바그너 자신이 남긴 반유대주의적 글들 때문에[56] 이스라엘 내 유대인 음악가들은 바그너 음악 연주를 기피하게 되었고, 이는 비공식적인 보이콧으로 이어졌다.[57]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이후에도 이 금기는 계속되었으며, 주빈 메타 등이 1974년과 1981년에 금지 해제를 시도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58][59]

바렌보임은 1988년 바이로이트 페스티벌에서 바그너 오페라 지휘자로 선정된 이후,[60] 1989년부터 이스라엘 내 바그너 금지에 대해 공개적으로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61] 그는 에드워드 사이드와의 대화에서 바그너 개인에 대해서는 "끔찍하고 비열하다"고 평가했지만, 그의 음악은 "고귀하고 관대함"과 같은 정반대의 감정을 담고 있어 분리해서 봐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또한 바그너의 반유대주의는 "괴물 같은" 것이지만 "바그너가 홀로코스트를 일으킨 것은 아니다"라고 주장하며, 음악 자체에 대한 평가는 별개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61] 1990년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함께한 첫 이스라엘 공연에서는 바그너를 연주하지 않았으나,[62] 이후 이스라엘 필하모닉과 바그너 서곡 두 곡을 지휘할 계획을 발표했고,[63] 1990년 12월 27일 제한된 청중 앞에서 연주를 실행했다.[64]

2001년 7월, 바렌보임은 예루살렘에서 열린 이스라엘 페스티벌에서 베를린 슈타츠카펠레와 함께 바그너의 오페라 ''발퀴레'' 1막을 연주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일부 홀로코스트 생존자들과 이스라엘 정부의 강력한 반발로 인해 페스티벌 주최 측은 프로그램 변경을 요청했고,[66] 바그너 대신 로베르트 슈만이고르 스트라빈스키의 곡을 연주하기로 합의했다.[67] 하지만 7월 7일 콘서트 말미에 바렌보임은 청중에게 바그너 연주 의사를 밝히고 반대하는 사람들에게 퇴장을 요청했다. 그는 "바그너가 나치와 관련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청중석에 있다"며 "이러한 연상 때문에 고통받는 분들을 존중하지만, 바그너 앙코르를 듣고 싶어하는 사람들을 위해 연주하는 것은 민주적인 일"이라고 말했다. 약 30분간의 논쟁 끝에 소수의 관객이 퇴장했고, 남은 대다수의 청중 앞에서 바그너의 ''트리스탄과 이졸데'' 전주곡을 앙코르로 연주했으며, 연주 후 큰 박수를 받았다.[68][69][70] 바렌보임은 이 행동이 정치적 발언이라고 생각했으며, 기자회견에서 자신의 휴대전화 벨소리가 바그너의 "발퀴레의 기행"이었던 것을 언급하며 "전화벨 소리로 들을 수 있다면 왜 콘서트홀에서는 연주할 수 없느냐"고 반문했다.[72][73][74]

이 사건 이후 이스라엘 크네세트 위원회는 바렌보임이 사과할 때까지 그를 페르소나 논 그라타(기피 인물)로 지정할 것을 요구했으나,[75] 이스라엘 필하모닉의 음악 감독 주빈 메타와 일부 크네세트 의원들은 이러한 움직임을 비판했다.[76] 바렌보임은 2004년 이스라엘에서 울프상 예술 부문 수상을 앞두고 "사람들이 정말 상처를 입었다면 물론 유감이다. 왜냐하면 나는 누구에게도 해를 끼치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77]

바렌보임은 이후에도 자신의 입장을 꾸준히 밝혔다. 2005년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열린 에드워드 사이드 기념 강연에서 그는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의 '이야기'를 받아들여야 하며, 이를 거부하는 태도가 새로운 형태의 반유대주의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이스라엘 대중이 바그너의 반유대주의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은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필요를 이해하지 못하게 만드는 집단적 두려움과 같은 맥락이라고 주장했다.[78][79][80] 2012년 독일 언론 ''슈피겔''과의 인터뷰에서는 이스라엘 당국의 완고한 바그너 연주 거부를 "질병의 증상"이라 표현하며, 홀로코스트에 대한 기억이 이스라엘에서 정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6일 전쟁 이후 이스라엘 정치인들이 유럽의 반유대주의와 팔레스타인 문제(이스라엘 국가 건설 거부)를 부당하게 연결지었다고 지적했다.[84] 그는 서구-동부 디반 오케스트라와 함께 바그너를 연주한 것에 대해, 오케스트라 내 이스라엘 금관악기 주자들의 요청이 있었다고 밝혔다.[84]

4. 음악 스타일 및 레퍼토리

다니엘 바렌보임은 음악학 연구에 기반한 당대의 음악적 유행, 예를 들어 정통 연주 운동과 같은 경향을 따르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베토벤 교향곡 녹음은 Bärenreiter 출판사의 새로운 판본(조나단 델 마르 편집)을 엄격하게 따르기보다는, 특정 관습적인 연주 방식을 선호하는 그의 경향을 보여준다.[47]

바렌보임은 작곡가의 메트로놈 표시와 같은 역사적 증거에만 의존하여 곡의 템포를 결정하는 것에 반대한다. 그는 음악 자체, 특히 화성과 화성 리듬 속에서 적절한 템포를 찾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관점은 그가 녹음한 베토벤 교향곡의 전반적인 템포 선택에 반영되어 있으며, 이는 대체로 20세기 초반의 연주 관행을 따르는 경향을 보인다. 그는 데이비드 진먼이나 정통 연주 운동의 지지자인 로저 노링턴 경과 같은 다른 지휘자들이 채택한 빠른 템포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의 바흐평균율 클라비어곡집》 녹음에서는 오른발 서스테인 페달을 자주 사용하는데, 이는 바흐 시대의 건반 악기에는 없던 장치이다. 이는 글렌 굴드가 선호했던 건조하고 스타카토적인 음향과는 상당히 다른 음색을 만들어낸다. 또한 푸가에서는 특정 성부를 다른 성부보다 훨씬 크게 연주하는데, 이는 하프시코드로는 불가능한 표현 방식이다. 바렌보임은 자신의 바흐 해석에 대해, 바흐 시대의 정확한 연주 스타일을 재현하는 것보다는 2세기 반 동안 이어져 온 바흐 연주 전통에 더 관심이 있다고 설명한다. 그는 역사적 연주 관행 연구의 중요성을 인정하면서도, 화성의 영향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옛 악기와 역사적 연주 관행에 대한 연구는 우리에게 많은 것을 가르쳐 주었지만, 가장 중요한 점인 화성의 영향은 무시되어 왔습니다. 템포가 독립적인 현상으로 묘사되는 사실이 이를 증명합니다. 바흐의 가보트 중 하나는 빠르게, 다른 하나는 느리게 연주되어야 한다고 주장됩니다. 하지만 템포는 독립적이지 않습니다! ... 저는 순수하게 역사적 연주 관행에만 관심을 가지고 과거 음악 연주 방식의 소리를 재현하려는 시도는 제한적이며 발전의 지표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멘델스존과 슈만은 리스트의 편곡과 부조니의 편곡처럼 바흐를 자신의 시대에 소개하려고 노력했습니다. 미국에서는 레오폴드 스톡호프스키도 오케스트라를 위한 편곡으로 이를 시도했습니다. 이것은 항상 바흐를 특정 시대에 더 가깝게 하려는 "진보적인" 노력의 결과였습니다. 제가 누군가가 바흐를 연주하고 부레즈처럼 들리게 하는 것에 대해 철학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지는 않습니다. 제 문제는 그 당시의 소리를 모방하려고 하는 사람들에게 더 있습니다 ...[48]


바렌보임은 바그너슈트라우스와 같이 이스라엘 내에서 논란이 있는 작곡가들의 작품 해석에도 뛰어난 능력을 보인다. 이는 그가 빌헬름 푸르트벵글러에게 사사받고 그의 계승자를 자처하는 태도와도 연관되며, 야샤 하이페츠, 로린 마젤, 레바인, 솔티 등 다른 유대계 음악가들이 신독일악파를 주요 레퍼토리로 삼는 경향과도 맥을 같이 한다. 반면, 그의 민족적 뿌리와 관련된 러시아 레퍼토리는 번스타인이나 앙드레 프레빈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중이 크지 않다. 그는 주로 베토벤, 브람스, 브루크너의 교향곡을 주요 레퍼토리로 삼는다.

바렌보임은 짧은 시간에 방대한 양의 연주와 녹음을 소화하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항상 암보로 연주할 수 있는 피아노 레퍼토리가 300곡이 넘는다고 알려져 있다. 그는 『뉘른베르크의 마이스터징거』나 『돈 조반니』 같은 오페라를 연습 번호까지 포함하여 완전 암보로 지휘한 다음 날,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전곡이나 피아노 협주곡 전곡을 연주하고, 이어서 『니벨룽의 반지』 전곡을 암보로 지휘하는 등 극도로 집약적인 스케줄을 소화해낸다. 베를린 예술 축제에서는 베를린 슈타츠카펠레와 함께 브루크너의 교향곡 전곡을 연주하기도 했다.

2017년, 바렌보임은 기존의 교차 현(cross-stringing) 방식 대신 직선형 저음 현(straight-strung bass strings)을 가진 새로운 디자인의 콘서트 그랜드 피아노를 공개했다. 이는 리스트가 사용했던 직선 현 방식의 에라르 피아노(리스트의 에라르 피아노)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다. 바렌보임은 이 새로운 악기가 더 명료한 음색과 넓은 음색 표현 범위를 제공한다고 평가했다. 이 피아노는 벨기에의 피아노 제작자 크리스 마에네의 도움을 받아 개발 및 제작되었다.[143] 2019년에는 이 악기를 사용하여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협연하기도 했다.

5. 음반

다니엘 바렌보임은 방대한 양의 녹음을 남겼으며, 음반 시장이 축소된 오늘날에도 꾸준히 새로운 음반을 발매하는 몇 안 되는 음악가 중 한 명이다. 그의 첫 녹음은 1954년에 이루어졌다.

피아니스트로서 그는 모차르트의 피아노 소나타와 피아노 협주곡 전곡 녹음을 완성했으며, 오토 클렘페러가 지휘한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전곡, 존 바비롤리 경이 지휘한 브람스 피아노 협주곡 전곡, 피에르 불레즈가 지휘한 버르토크의 피아노 협주곡 1번과 3번 등을 녹음했다. 특히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전 32곡 녹음을 다섯 차례나 남겼는데, 2020년 기준으로 이는 현역 피아니스트 중 유일한 기록이다.[146][147][148][149][150] 다만, 비교적 이른 시기에 피아니스트에서 지휘자로 활동의 중심을 옮겼기 때문에 암기한 레퍼토리는 많지만 시대적 폭은 상대적으로 좁다는 평가도 있다.

지휘자로서도 많은 음반을 남겼다. 파리 오케스트라 음악 감독 시절에는 도이치 그라모폰 레이블로 라벨드뷔시의 관현악곡 음반을 녹음하여 높은 평가를 받았다. 슈타츠카펠레 베를린과는 베토벤 교향곡 전곡을,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와는 브람스 교향곡 전곡을 녹음했다. 브루크너 교향곡 전곡은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 및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각각 녹음하여 두 종류의 전집을 완성했으며, 슈타츠카펠레 베를린과 세 번째 전곡 녹음을 진행하기도 했다.

오페라 분야에서는 모차르트와 다 폰테가 함께 작업한 3대 오페라(피가로의 결혼, 돈 조반니, 코지 판 투테)를 잉글리시 체임버 오케스트라 및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각각 녹음했다. 특히 베를린 필하모닉과의 녹음(텔덱 레이블) 이후에는 바그너의 주요 작품들을 연이어 녹음했다. 바이로이트 축제 관현악단과는 《니벨룽의 반지》와 《뉘른베르크의 명가수》를,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는 《트리스탄과 이졸데》를, 슈타츠카펠레 베를린과는 《로엔그린》, 《탄호이저》, 《방황하는 네덜란드인》을 텔덱 레이블을 통해 거의 1년 간격으로 발표했다.

최근에는 'BARENBOIM-MAENE'[151]라는 이름의 특별 제작 피아노를 사용하여 연주와 녹음을 하고 있다. 이 피아노는 일반적인 피아노의 교차 배열 현과 달리 모든 현이 평행하게 배열된 것이 특징이다. 이 악기를 제작한 마에네(Maene)는 바렌보임과의 작업을 통해 명성을 얻어 현재는 스타인웨이로부터 독립하여 활동하고 있다.[152]

6. 수상 경력

주요 상훈
연도상훈명비고
1954비오티 국제음악콩쿠르 피아노 부문 그랑프리[157]
2001괴테 메달[158]
2002독일 연방 공화국 공훈훈장 대십자장
2002아스투리아스 공주상 (협력 부문)에드워드 사이드와 공동 수상
2002튀칭 복음주의 아카데미 관용상
2003빌헬름 푸르트뱅글러 상베를린 국립 오페라 오케스트라와 공동 수상
2004부버-로젠츠바이크 메달
2004볼프 예술상
2005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외국 명예 회원[113]
2006에른스트 폰 지멘스 음악상
2007이탈리아 공화국 공로 훈장 1등급 (대십자장)[114]
2007레지옹 도뇌르 훈장 코망되르 (사령관)[115]
2007괴테 메달
2007프라에미움 임페리알레 (음악 부문)
2008라엘리안 무브먼트 명예 가이드[116]
2008국제 인권옹호 공로상[117]
2008왕립 필하모닉 협회 금메달[118]
2009이스탄불 국제 음악제 평생 공로상[119]
2009다이아몬드 코넥스 상 (고전 음악 부문)코넥스 재단 수여
2009레오니 소닝 음악상[120]
2010베스트팔렌 평화상근동 지역 대화 노력 공로[121][122]
2010오토 한 평화 메달독일 유엔 협회(DGVN) 수여
2011레지옹 도뇌르 훈장 그랑도피시에 (대장)[123]
2011에디슨 클래식 음악상 평생 공로상[124]
2011대영 제국 훈장 명예 기사 사령관 (Honorary KBE)[125][126]
2011드레스덴 평화상[127]
2011국제 빌리 브란트 상[128]
2012그래모폰 명예의 전당 헌액[129]
2015푸르 르 메리트 과학예술훈장[130]
2015엘가 메달[131]
2022그래모폰 클래식 음악상 평생 공로상[132]
2023베를린 명예 시민[133]
2023레지옹 도뇌르 훈장 대십자장[134]
(연도 미상)베를린 필하모닉 명예 회원



=== 그래미상 ===

바렌보임은 총 7번의 그래미상을 수상했다.[142]

그래미상 수상 내역
연도부문수상작 및 협연자
1977최고 기악 독주자 연주상 (오케스트라와 함께)
최고 클래식 음반상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5곡
(피아노: 아서 루빈스타인, 지휘: 다니엘 바렌보임, 오케스트라: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1983최고 기악 독주자 연주상 (오케스트라와 함께)엘가: 바이올린 협주곡 B단조
(바이올린: 잇착 펄만, 지휘: 다니엘 바렌보임, 오케스트라: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
1991최고 실내악 연주상브람스: 바이올린 소나타 3곡
(피아노: 다니엘 바렌보임, 바이올린: 잇착 펄만)
1992최고 관현악 연주상존 코릴리아노: 교향곡 제1번
(지휘: 다니엘 바렌보임, 오케스트라: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
1995최고 실내악 연주상베토벤/모차르트: 피아노와 관악을 위한 오중주
(피아노: 다니엘 바렌보임, 연주: 데일 클레벤저, 래리 콤스, 다니엘레 다미아노, 한스외르크 셸렌베르거 & 베를린 필하모닉 단원)
2002최고 기악 독주자 연주상 (오케스트라와 함께)리하르트 슈트라우스 관악 협주곡 (호른 협주곡, 오보에 협주곡 등)
(피아노/지휘: 다니엘 바렌보임, 연주: 데일 클레벤저, 래리 콤스, 알렉스 클라인, 데이비드 맥길 &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
2003최고 오페라 녹음상바그너: 탄호이저
(지휘: 다니엘 바렌보임, 가수: 제인 이글런, 토마스 햄프슨, 발트라우트 마이어, 르네 파페, 페터 자이퍼트, 합창단: 베를린 국립오페라 합창단, 오케스트라: 베를린 슈타츠카펠레)



=== 명예 박사 학위 ===

연도수여 기관학위명
1996예루살렘 히브리 대학교철학 박사 [135][157]
2003브뤼셀 자유 대학교명예 박사 [136]
2007옥스퍼드 대학교음악 박사 [137]
2008런던대학교 아시아·아프리카 연구원 (SOAS)음악 박사 [138]
2010왕립 음악원음악 박사 [139]
2013바이츠만 과학 연구소철학 박사 [140]
2020피렌체 대학교명예 박사 [141]


참조

[1] 방송 Daniel Barenboim: In the Beginning Was Sound http://www.bbc.co.uk[...] 2006-04-07
[2] 서적 Die Akte Barenboim Jörg Thadeusz/Stefan Frohloff 2015
[3] 웹사이트 60 Years: Daniel Barenboim on Israel https://danielbarenb[...] 2008-05-10
[4] 뉴스 Daniel Barenboim, Titan of Conducting, to Step Down in Berlin https://www.nytimes.[...] 2023-01-06
[5] 뉴스 Barenboim to leave La Scala opera https://www.bbc.co.u[...] 2013-10-29
[6] 뉴스 Conductor Daniel Barenboim receives honorary knighthood https://www.bbc.com/[...] 2011-06-24
[7] 서적 Who's who in Israel and in the work for Israel abroad https://books.google[...] Bronfman & Cohen Publications 1980
[8] 뉴스 Daniel Barenboim: Baton charge https://www.independ[...] 2002-12-16
[9] 웹사이트 Why Wilhelm Furtwängler Still Moves Us Today https://danielbarenb[...] danielbarenboim.com 2004-11
[10] 간행물 Festrede von Daniel Barenboim beim Festakt zur Eröffnung der Salzburger Festspiele 2010 https://docplayer.or[...] Land Salzburg, Präsidialabteilung 2010-07-26
[11] 서적 Who's Who in World Jewry Who's Who in World Jewry 2009
[12] 서적 The Score of My Life https://archive.org/[...] Amadeus Press 2009
[13] 뉴스 Conductor Barenboim to be Nobel nominee http://www.dawn.com/[...] Dawn.com 2011-08-11
[14] 뉴스 Israeli pianist Daniel Barenboim takes Palestinian citizenship https://www.haaretz.[...] 2008-01-13
[15] 뉴스 Music gives me hope https://www.theguard[...] 2008-05-14
[16] 뉴스 Israeli conductor Daniel Barenboim to perform with orchestra in Gaza http://www.haaretz.c[...] 2011-05-02
[17] 뉴스 Music with much love 1967-06-09
[18] 뉴스 Why make war when you can make music? https://www.telegrap[...] 2005-07-21
[19] 뉴스 Barenboim Backlash. The CSO's Henry Fogel Defends Solti's Successor https://www.chicagot[...] 1989-05-14
[20] 뉴스 Barenboim to Leave Chicago Symphony in 06 http://www.backstage[...] 2004-02-26
[21] 뉴스 Daniel and Michael Barenboim: The family that plays together ... https://www.independ[...] 2012-07-18
[22] 뉴스 Barenboim in battle to save Berlin opera house https://www.telegrap[...] 2002-11-15
[23] 뉴스 Goodbye Chicago, hello world https://www.telegrap[...] 2006-06-20
[24] 뉴스 Barenboim to be La Scala's guest https://www.theguard[...] 2006-05-16
[25] 뉴스 A tale of two Italian opera cities https://www.theguard[...] 2011-12-11
[26] 뉴스 Daniel in the circus lions' den https://www.telegrap[...] 2006-04-01
[27] 뉴스 Maverick maestro plays a different tune https://www.telegrap[...] 2006-03-09
[28] 뉴스 In the beginning, there was sound. Then came Muzak https://www.telegrap[...] 2006-04-08
[29] 뉴스 Maestro of the Middle East http://arts.guardian[...] 2006-04-02
[30] 뉴스 Ideas, Appassionato http://www.harvardma[...] 2007-01-02
[31] 뉴스 Unprompted, Lorin Maazel Nominates His Successor https://www.nytimes.[...] 2006-11-29
[32] 뉴스 Proposed Philharmonic Candidate Is Flattered, if Coy https://www.nytimes.[...] 2006-11-30
[33] 뉴스 Philharmonic to Add a Position at the Top https://www.nytimes.[...] 2007-04-25
[34] 웹사이트 On Conducting the New Year's Day Concert with the Vienna Philharmonic http://www.wienerphi[...] Wiener Philharmoniker
[35] 뉴스 Neujahrskonzert 2009 – Daniel Barenboims sanfte Revolution http://www.kleinezei[...] 2009-01-01
[36] 뉴스 Neujahrskonzert 2021 ohne Publikum, 2022 mit Barenboim https://www.derstand[...] 2021-01-01
[37] 웹사이트 2022 Vienna Philharmonic New Year's Concert held in Austria http://www.xinhuanet[...] Xinhua 2022-01-01
[38] 웹사이트 Plans for Barenboim–Said Academy in Berlin Unveiled http://artsbeat.blog[...] 2014-05-06
[39] 뉴스 The Barenboim-Said Academy Opens in Berlin https://www.nytimes.[...] 2016-12-09
[40] 뉴스 Frank Gehry and Daniel Barenboim on Their New Concert Hall in Berlin (Published 2017) https://www.nytimes.[...] 2017-03-03
[41] 뉴스 Daniel Barenboim reveals radical new piano design: 'I've fallen in love with it' https://www.theguard[...] 2015-05-26
[42] 웹사이트 New animated series: Max & Maestro https://danielbarenb[...] 2018-04-11
[43] 뉴스 Daniel Barenboim: 'If I could never conduct a live Ring cycle again, I don't know what I would do' https://www.theguard[...] 2020-07-09
[44] 웹사이트 The 79-year-old conductor and pianist took to social media to share his important news this evening. https://www.classicf[...] Classic FM 2022-10-04
[45] 웹사이트 It is with a combination of pride and sadness that I announce today that I am taking a step back from some of my performing activities, especially conducting engagements, for the coming months. https://twitter.com/[...] Twitter 2022-10-04
[46] 뉴스 Daniel Barenboim, Titan of Conducting, Steps Down in Berlin https://www.nytimes.[...] 2023-01-06
[47] 서적 Barenboim's liner notes for his recording of Beethoven's symphonies Teldec 2000-01-01
[48] 서적 "Ich bin mit Bach aufgewachsen" (I was reared on Bach), Barenboim's liner notes for his recordings of Bach's The Well-Tempered Clavier. Translated by Gery Bramall.
[49] 뉴스 Love, the hard way https://www.theguard[...] 2001-08-31
[50] 뉴스 Daniel in the lion's den https://www.theguard[...] 1999-10-22
[51] 웹사이트 Barenboim anticipó su gran concierto con un ensayo en pleno Obelisco http://www.clarin.co[...] Clarin.com 2006-12-31
[52] 웹사이트 Two Daniel Barenboim box sets to be released this November https://www.pianistm[...] 2017-09-20
[53] 웹사이트 Daniel Barenboim – A Retrospective, The Complete Sony Recordings https://www.prestocl[...]
[54] 간행물 Bronislaw Szulc at Levant Fair Concert Hall [Tel Aviv] Palestine Post 1938-07-20
[55] 서적 Medien – Politik – Geschichte. Tel Aviver Jahrbuch für deutsche Geschichte https://books.google[...] Verlag Wallstein Verlag
[56] 서적 The Jew in the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57] 웹사이트 Haifa Symphony Orchestra Cancels Wagnerian Concert on 'Crystal Night' http://archive.jta.o[...] Jewish Telegraphic Agency 1963-11-12
[58] 웹사이트 Philharmonic Drops Wagner from Program to Avoid Disturbances | Jewish Telegraphic Agency http://archive.jta.o[...] Archive.jta.org 1974-06-25
[59] 웹사이트 Controversy Flares over Playing of Wagner's Music by the Ipo https://www.jta.org/[...] 2015-03-20
[60] 간행물 News Brief Jewish Telegraphic Agency 1985-08-07
[61] 웹사이트 Israeli Philharmonic Rehearses Two Pieces of Richard Wagner https://www.jta.org/[...] 2015-03-20
[62] 뉴스 Berlin orchestra won't play Wagner 1989-11-11
[63] 웹사이트 Chorus of Protest Erupts in Israel over Ipo Decision to Perform Wagner https://www.jta.org/[...] 2015-03-20
[64] 웹사이트 Ipo Goes Ahead and Plays Wagner, in Guise of a Rehearsal Concert https://www.jta.org/[...] 2015-03-20
[65] 간행물 News Brief Jewish Telegraphic Agency 2000-10-30
[66] 뉴스 Israeli battle over Wagner https://www.telegrap[...] 2001-05-14
[67] 간행물 News Brief, Jewish Telegraphic Agency, 31 May 2001; Larry Derfner, "Aryan virtues vs. musical greatness", Chicago Jewish Star, 25 May 2001, pp.7–8. Jewish Telegraphic Agency; Chicago Jewish Star 2001-05-31
[68] 뉴스 Wagner gets in through the back door. Some are angry about Daniel Barenboim's decision to conduct Wagner, but call it a historic occasion nonetheless http://www.haaretz.c[...] 2001-07-18
[69] 뉴스 Barenboim shatters Israel taboo on Wagner https://www.telegrap[...] 2001-07-09
[70] 뉴스 Orchestral manoeuvres https://www.theguard[...] 2004-08-13
[71] 뉴스 Subscribers turning a deaf ear to CSO Chicago Jewish Star 2001-09-14
[72] 웹사이트 Those who want to leave, do so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2-09-06
[73] 뉴스 Playing a Bit of Wagner Sets Off an Uproar in Israel The New York Times 2001-07-09
[74] 뉴스 Barenboim plays Wagner Chicago Sun-Times 2001-07-08
[75] 뉴스 News Brief Jewish Telegraphic Agency 2001-07-25
[76] 웹사이트 Mehta Slams Knesset Boycott of Barenboim https://www.haaretz.[...] Haaretz 2001-07-26
[77] 뉴스 Apology (sort of) delivered, now Barenboim will get prize Chicago Sun-Times 2003-12-17
[78] 웹사이트 Daniel Barenboim Discusses Music As A Bridge For Peace in the Middle East https://web.archive.[...] Calendar.columbia.edu 2011-07-19
[79] 뉴스 Daniel Barenboim at Columbia University Financial Times 2005-01-27
[80] 웹사이트 Barenboim Criticizes Israeli View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5-01-26
[81] 웹사이트 Barenboim Comments Spark Anger As Controversy at Columbia Builds / Maestro Maelstrom at Columbia https://www.jta.org/[...] Jewish Telegraphic Agency / The Jewish Week 2015-03-20
[82] 웹사이트 Musing on the Barenboim X-Factor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7-03-02
[83] 웹사이트 Israeli Conductor Barenboim Wants to 'Liberate' Wagner From Nazi Association https://www.haaretz.[...] Haaretz 2010-12-03
[84] 웹사이트 Spiegel Interview with Daniel Barenboim: 'The Germans Are Prisoners of Their Past' http://www.spiegel.d[...] Der Spiegel 2012-06-22
[85] 뉴스 Supporting Barenboim's position / Opposing Barenboim's position Chicago Sun-Times, The New York Times, The New York Times, Chicago Tribune, The Jewish Star, The Jerusalem Post, The International Jerusalem Post, The Wall Street Journal, The International Jerusalem Post, Chicago Jewish Star, The Wall Street Journal 1991-12-18, 1991-12-19, 1991-12-26, 2001-07-10, 1981-11-20, 1981-10-25, 2000-11-10, 2001-07-13, 2002-09-20, 2006-06-23, 2009-01-31
[86] 웹사이트 Daniel Barenboim – Playing Politics http://www.scena.org[...] La Scena Musicale 2003-12-03
[87] 뉴스 Conducting a one-man experiment in peace. Profile: Daniel Barenboim http://www.timesonli[...] The Sunday Times 2005-08-21
[88] 웹사이트 Germany must talk straight with Israel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4-11-09
[89] 웹사이트 In harmony http://arts.guardian[...] The Guardian 2003-04-05
[90] 웹사이트 Sound and vision http://arts.guardian[...] The Guardian 2004-10-25
[91] 웹사이트 Everything to play for http://education.gua[...] The Guardian 2001-08-03
[92] 웹사이트 Daniel's codes of conduct http://observer.guar[...] The Observer 2003-08-16
[93] 웹사이트 Playing for Peace https://web.archive.[...] New Statesman 2007-09-30
[94] 웹사이트 "A duet for solo voice" (book review) https://web.archive.[...] Telegraph.co.uk 2007-10-18
[95] 웹사이트 Conductor Barenboim in radio row http://news.bbc.co.u[...] BBC 2005-09-03
[96] 웹사이트 'Zionist' Barenboim's Qatar concert cancelled http://www.ynetnews.[...] YNetnews 2012-05-01
[97] 웹사이트 Israeli-Arab Normalization Hits a Snag http://english.al-ak[...] Al Akhbar 2012-04-28
[98] 웹사이트 Prom 18: West–Eastern Divan Orchestra/Barenboim – review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2-07-29
[99] 웹사이트 Olympic cauldron lit by sport stars of future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2-07-27
[100] 웹사이트 Barenboim changes tune https://www.telegrap[...] Telegraph.co.uk 2003-12-17
[101] 웹사이트 Daniel Barenboim to apologize, receive Wolf Award http://www.haaretz.c[...] Haaretz 2003-12-16
[102] 웹사이트 Rivlin to boycott Barenboim prize award http://www.haaretz.c[...] Haaretz 2004-05-05
[103] 웹아카이브 Archived copy of Daniel Barenboim's Wolf Prize speech https://web.archive.[...] 2006-06-20
[104] 웹사이트 Yahoo News http://music.yahoo.c[...]
[105] 웹사이트 Barenboim defies Israeli opinion http://www.theguardi[...] the Guardian 2002-09-11
[106] 뉴스 Conductor Barenboim slams Israel after musician barred from entering Gaza http://www.haaretz.c[...] 2007-12-17
[107] 뉴스 Israeli pianist Barenboim takes Palestinian passport http://www.ynetnews.[...] 2008-01-14
[108] 뉴스 Barenboim Cancels Middle East Concerts https://www.nytimes.[...] 2009-01-06
[109] 뉴스 Mozart Leaps Perilous Hurdles to Reach an Audience in Gaza https://www.nytimes.[...] 2011-05-04
[110] 뉴스 Conductor Daniel Barenboim holds Gaza 'peace concert' https://www.bbc.co.u[...] 2011-05-03
[111] 뉴스 Daniel Barenboim brings 'solace and pleasure' to Gaza with Mozart concert. Israeli conductor voices support for non-violence and Palestinian state during performance for schoolchildren and NGO workers https://www.theguard[...] 2011-05-03
[112] 웹사이트 (7163) Barenboim = 1984 DB = 1991 DL https://minorplanetc[...] The Minor Planet Center, hosted by the Center for Astrophysics, Harvard & Smithsonian
[113] 웹사이트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B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114] 웹사이트 Presidenza della Repubblica http://www.quirinale[...] Quirinale.it
[115] 웹아카이브 http://www.elysee.fr[...]
[116] 웹사이트 Conductor Daniel Barenboim Honorary Guide of the Raelian Movement http://www.raelianew[...] Raelianews
[117] 웹사이트 Daniel Barenboim http://www.internati[...] International Service
[118] 뉴스 Gold Medal for Daniel Barenboim http://www.royalphil[...] The Royal Philharmonic Society 2008-01-29
[119] 뉴스 37th International İstanbul Music Festival ends http://www.iksv.org/[...] Istanbul Foundation for Culture and Arts 2009-06-30
[120] 뉴스 Årets-Næste prismodtager Daniel Barenboim, pianist og dirigent http://www.sonningmu[...] Léonie Sonnings Musikfond 2009-01-29
[121] 웹사이트 Barenboim erhält Westfälischen Friedenspreis https://www.sueddeut[...] 2010-10-30
[122] 웹사이트 Westphalia Peace Prize – DW – 10/30/2010 https://www.dw.com/e[...] 2010-10-30
[123] 웹사이트 Cérémonie de remise des insignes de Grand Officier de la Légion d'honneur à M. Daniel Barenboim http://www.elysee.fr[...] Présidence de la République – Élysée 2011-02-28
[124] 웹사이트 Oeuvreprijs Klassiek voor Daniel Barenboim http://www.edisons.n[...] 2011-03-29
[125] 뉴스 Conductor Barenboim to accept British knighthood https://www.google.c[...] AFP 2011-06-23
[126] 웹사이트 Conductor Daniel Barenboim receives honorary knighthood https://www.bbc.co.u[...] BBC 2011-06-24
[127] 웹사이트 Laureates – Dresden-Preis http://dresdner-frie[...]
[128] 뉴스 Daniel Barenboim mit Willy-Brandt-Preis geehrt https://www.wz.de/ku[...] 2011-10-25
[129] 웹사이트 Daniel Barenboim (pianist and conductor) http://www.gramophon[...]
[130] 웹사이트 Pour le Mérite: Daniel Barenboim http://www.orden-pou[...] 2018
[131] 웹사이트 Elgar Society Awards https://elgarsociety[...] Elgar Society
[132] 웹사이트 Gramophone Classical Music Awards 2022 Lifetime Achievement Award https://www.gramopho[...]
[133] 웹사이트 Dirigent Daniel Barenboim soll Berliner Ehrenbürger werden – neue musikzeitung https://www.nmz.de/k[...] 2023-04-12
[134] 웹사이트 Martha Argerich y Daniel Barenboim fueron condecorados por el presidente de Francia con la Legión de Honor https://www.lanacion[...] 2023-12-12
[135] 서적 A Life in Music https://books.google[...] Arcade
[136] 웹사이트 Honorary doctorates https://www.cavavub.[...]
[137] 웹사이트 Honorary Doctors of Music https://www.music.ox[...]
[138] 웹사이트 SOAS Honorary Fellows https://www.soas.ac.[...] SOAS
[139] 웹사이트 Our history https://www.ram.ac.u[...] 2020-04-21
[140] 웹사이트 PhD Honoris Causa https://www.weizmann[...] 2015-07-01
[141] 웹사이트 Daniel Barenboim is awarded an honorary degree in International Relations and European studies – News – Università degli Studi di Firenze https://www.unifi.it[...] 2020-06-23
[142] 웹사이트 Daniel Barenboim https://www.grammy.c[...] 2019-11-19
[143] 뉴스 Daniel Barenboim reveals radical new piano design: 'I've fallen in love with it' https://www.theguard[...] 2015-05-26
[144] 웹사이트 Daniel Barenboim Named Honorary Conductor https://web.archive.[...] www.berliner-philharmoniker.de
[145] 뉴스 バレンボイム氏、音楽総監督辞任 「健康悪化」―ベルリン国立歌劇場 https://www.jiji.com[...] 2023-01-06
[146] 웹사이트 EMI, Decca, Warner, DGに別々の録音を残している。 https://www.amazon.c[...] www.amazon.com
[147] 웹사이트 DGへ、2020年にベートーヴェンのソナタ全曲を録音しなおした。 https://www.hmv.co.j[...] www.hmv.co.jp
[148] 웹사이트 Warnerから発売されているCDはEMIと同一のテイクだが、このBDは違う。1980年代に全32曲のテレビ撮りが行われたものである。この映像はかつてNHK教育でも抜粋が放映されたことがある。 https://www.amazon.c[...] www.amazon.com
[149] 웹사이트 1回目(EMI/1966~69年)、2回目(DG/1981~84年)、3回目(映像 メトロポリタン・ミュニック制作 EuroArts/1983~84年)、4回目(DECCA/2005年)、5回目(DG/2020年)と本作を入れて5回ベートーヴェンのソナタ全曲 https://archive.ph/h[...] www.hmv.co.jp
[150] 웹사이트 EMIが1回目、DGが2回目、Jean-Pierre PonnelleによるWarnerからのBlu-ray録画が3回目、Deccaが4回目、そして2020年に発売されたDGが5回目になる。 https://www.classics[...] www.classicstoday.com
[151] 웹사이트 Daniel Barenboim's bespoke piano is an absolute stunner - here's why https://www.classicf[...] www.classicfm.com 2017-11-14
[152] 웹사이트 THE CHRIS MAENE STRAIGHT STRUNG GRAND PIANO : MERGING TRADITION & INNOVATION https://www.chrismae[...] www.chrismaene.be
[153] 웹사이트 Daniel Barenboim - Playing Politics http://www.scena.org[...] The Music Scene (magazine)
[154] 웹사이트 Barenboim shatters Israel taboo on Wagner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155] 웹사이트 非難 http://news.bbc.co.u[...] bbc
[156] 웹사이트 イスラエルとアラブが共に学ぶ バレンボイムが探す希望 https://www.nikkei.c[...] 2024-01-29
[157] 웹사이트 この最年少記録は現在も破られていない。 https://issuu.com/un[...] issuu.com
[158] 웹사이트 Ehrungen https://www.goethe-g[...] 2021-05-02
[159] 웹사이트 ブエノスアイレス発 バレンボイムが聴衆に我慢できず演奏中断 https://m-festival.b[...] 月間音楽祭 2018-07-25
[160] 웹사이트 ダニエル・バレンボイム 6月3日・4日の公演について【お詫びとお知らせ】 https://tempoprimo.c[...] 株式会社テンポプリモ 2021-06-04
[161] 웹사이트 Interview mit Daniel Barenboim https://www.3sat.de/[...] www.3sat.de
[162] 웹사이트 バレンボイム/サイード 音楽と社会 https://www.msz.co.j[...] www.msz.co.jp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